반응형

환경호르몬 2

플라스틱 장난감을 대체할 수 있는 장난감 소재 : 궁극의 소재 실리콘?

얼마 전 포스팅했던 것처럼 ‘유퀴즈온더블록’에 출연한 김붕년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 교수님이 ‘최근 자폐스펙트럼이 늘어난 것은 플라스틱 사용 등으로 인해 늘어난 환경호르몬이 원인일 수도 있다고 추정되고 있다“는 이야기를 하셔서 적지 않게 충격을 받았는데요, 한참 구강기를 지나고 있는 저희 아기는 일단 뭐든 입으로 직행하고 있기 때문에 ㅠ 더더욱 플라스틱이 아닌 장난감을 구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근데 저도 모르게 샀던, 혹은 선물로 받았던 장난감들은 죄다 플라스틱들이더라고요. 플라스틱이 아닌 장난감 소재는 어떤게 있을까요? 1. 실리콘: 실리콘은 안전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구강기 장난감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소독하기가 쉬워 위생적입니다. 실리콘은 환경호르몬을 생성하지 않는 무기..

육아 2023.08.30

환경호르몬이 질병의 원인이 될수도 있다 (자폐증, 유방암 등)

얼마 전 ‘유퀴즈온더블록’에 출연한 김붕년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 교수님이 ‘최근 자폐스펙트럼이 늘어난 것은 플라스틱 사용 등으로 인해 늘어난 환경호르몬이 원인일 수도 있다고 추정되고 있다“는 이야기를 하셔서 적지 않게 충격을 받았는데요, 물론 환경호르몬 한가지만의 이유라고 보긴 어려울 수 있겠으나, 저는 환경호르몬이 생식기 쪽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야기는 들어와서 알고 있었지만 자폐증 같은 뇌 활동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상상을 하지 못했었거든요. 오늘은 환경호르몬이 원인이 될 수 있는 질병들 - 특히 BPA, 프탈레이트와 같은 플라스틱 화학 물질들 - 을 알아보았습니다. 1. 생식 기관 이상: 이러한 교란물질은 생식 능력, 임신 결과 및 생식기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

환경 2023.08.15
반응형